근대서화

찬란했던 근대 미술史

Home > 근대 서화 > 작가

작가작가

박수근
박수근
작가명(한자) 朴壽根
작가명(영문) Park Soo-Keun
생몰년 1914 ~ 1965
작가설명 박수근의 작품이 소박하다고 말해지는 것은 그림의 내면이 주로 서민생활의 단면을 묘출하고 있기 때문에서 뿐만 아니라 기법에서 유래되는 독특한 정감의 형성에서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박수근은 초기에서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소재상에서의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단색조에 가까운 절제된 색채감정과 투박한 안료층에 의한 특이한 기법의 천착으로 자신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난한 농촌의 생활정경과 변두리 도시서민의 애환 짙은 모습을 담은 그의 소재의 일관성은 가장 서민적인 작가 또는 가장 토속적인 작가로 불기기도 한다. 화면은 마치 흙벽과 같은 갈색조로 뒤덮히면서 대상은 검은 윤곽으로 처리되는 초기의 작품은 50년대 후반에서 작고하는 60년대 중반에 이르면서 기름기가 걸러지면서 화강암의 표면을 연상시키는 건삽한 질료에 도달하고 있다.
박수근의 초기에 해당하는 작품의 내용은 농촌풍경이 아니면 농가에서 일하는 여인의 모습으로 일관되고 있다. 일하는 여인들이 중심이 되면서 때로 풍경이 점경되는 내용은 이후 50년대와 6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고 있다. 해방 전 초기의 내용이 주로 농가의 정경, 농촌의 삶을 모티프로 한 것이라면 해방이후 50년대부터는 도시 변두리 서민들의 삶의 양상이 중심이 되고 있다. 시장에서 노점상을 벌이는 여인네들과 길바닥에 모여앉아 한담에 여념이 없는 중노의 남정네들의 모습이 주로 담겨진다.
색채는 극도로 절제되면서도 때로 여인네들의 치마저고리나 아이들의 옷에 엷게 입혀지는 수준이다. 인물이나 바닥이 거의 하나의 톤으로 전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치 흙에서 나서 흙으로 돌아가는 듯한 사물과 바탕이 일체되는 느낌이다. 후반기를 가면서 화면은 점차 화강암의 표면처럼 거칠면서도 건삽한 마티에르로 뒤덮인다. 안료를 겹겹이 발라올리면서 단층을 만들어가는 독특한 화면조성이다. 초기나 50년대 전반까지의 작품에서 보이는 평면화면에서 벗어나 화면이 구조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박수근 예술과 석물조각, 미술평론가 오광수